2007년 11월 21일 유엔에서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이 있었다. 당시 노무현정권은 찬성·반대·기권 중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이 상황을 송민순 당시 외교부 장관은 회고록에 “11월 18일 관계장관 회의에서 북한 의견을 확인해보자고 정하고 북한 측에 의사를 물었고, 20일에 북한 측 반대 의사를 확인하고 기권 입장을 최종 결정했다”고 적었다. 버시바우 주한 미 대사는 11월 19일 “한국이 찬성 투표해줄 것”을 마지막으로 요청했지만 명확한 답을 듣지 못했다.

그때 외교부 차관보를 지낸 심윤조 전 의원은 “회고록의 내용이 자신의 기억과 일치한다”면서 “송 장관이 노 대통령의 최종 결정을 듣고 `자신의 사퇴`까지 언급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찬성`을 주장했었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회고록의 내용이 사실이면, 대한민국 주권 포기, 국기 문란, 명백한 반역행위”라며 “대한민국이 지금까지 온전하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입만 열면 인권을 주장했던 사람들의 이중성을 보여준 사건”이라며, 노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표가 인권변호사 출신임을 상기시켰다.

박덕흠 의원은 “이번 `김정일 결재 사태`는 대한민국 정신과 영혼의 타락이라 말하고 싶다”면서 “유대인 학살과 아우슈비츠수용소 운영자를 처벌하면서 히틀러에게 물어보는 것과 같다”고 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문 전 대표가 한 나라의 지도자가 되겠다면, 스스로에 대한 깊은 고해성사가 필요하다” 했다.

정치하는 사람들은 궁지에 몰리면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버틴다. 이런 습관은 미국 정치인들도 마찬가지다. 명백한 증거가 있는데도 “deny! deny!·아니다!”라며 시인하지 않는다.

“북한에 의사를 물어본 것이 아니라, 기권 결정을 한 후 북에 `통보`를 한 것이다”라고 변명을 한다. `송민순 회고록`에 거짓말이 적혀 있다는 뜻이다. 많은 논객들이 “궁색한 변명보다는 당시의 상황을 감안해 달라 양해를 구하는 편이 나을 것”이라 한다.

/서동훈(칼럼니스트)

    서동훈(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