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류 퇴적물에서 기준치 3천배가 넘는 수은이 검출돼 충격을 주는 등 포항의 젖줄 형산강이 최악의 오염으로 신음하고 있는 이유 중 중요한 한 가지가 밝혀졌다. 포항철강관리공단의 환경을 관리하고 단속하는 일이 그 동안 어이없는 허술한 시스템으로 운영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대구환경청 출장소가 폐쇄된 이래 업체들은 환경담당부서를 없앴고 민간협의체마저 유명무실한 상태에서 오염원인 구무천 환경감시도 방치되고 있었다.

지난 2009년 포항철강관리공단 내 대구지방환경청 포항출장소가 폐쇄되면서 업체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도 크게 떨어졌다. 심지어 철강경기 침체를 이유로 환경담당부서를 아예 없애거나 안전담당자에게 환경업무를 겸임시키는 등의 폐단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공단의 환경오염 가속화는 필연적인 현상이었던 것이다.

우선, 공단 내 대규모 업체의 1~2종 환경관리는 경북도가 맡고 있어서 포항시도 느슨하게 대처하면서 그동안의 환경단속은 겉돌 수밖에 없었다. 포항철강공단 내 100여 곳에 이르는 1~2종 사업장에서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단속권이 없는 포항시는 손을 놓을 수밖에 없고, 설사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한다 해도 단속관청인 대구지방환경청이나 경북도 관계자의 즉각적인 출동도 어렵다.

더욱이 경북도청이 대구에서 안동으로 이전하면서 포항까지 오는데 1시간30분 이상 걸려, 신고를 받고 출동한다 해도 현장에 도착하면 상황이 종료되기 일쑤여서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결국 형산강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된 구무천에 대한 환경감시마저도 당국의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있었던 것이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지정폐기물 및 화학물질 배출업체를, 경북도는 1~2종 업체, 포항시는 3~5종 업체의 단속업무를 맡고 있다. 게다가 대구지방환경청 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포항철강공단의 대기오염 개선사업 민간협의체도 사실상 활동이 전무해 유명무실한 기구로 전락해버렸다. 환경단속 기관들의 단속 업무가 분산돼 있는데다, 협력체제도 유야무야해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는 얘기다.

극심한 오염으로 신음하고 있는 형산강을 살려내기 위해서는 경북도가 갖고 있는 1~2종 단속권을 포항시로 이관하든지, 폐쇄된 포항환경출장소를 부활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현재 3원화돼 있는 환경단속 시스템을 일원화해 관리 및 단속의 효율성도 높여야 한다. 맹독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형산강을 맑고 깨끗한 청정 하천으로 되살려내는 일에는 변명도 핑계도 다 소용이 없는 시점이다. 수단과 방법을 모두 동원해 지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생명의 젖줄로 되돌려놓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지역민들의 환경의식이 업그레이드돼야 한다. 강이 죽으면 인간의 삶이 결코 지속될 수 없다는 각성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