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들의 수도권 소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역경제 유출을 막고 지역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해 대구시의 순 역외소비 규모를 조사한 결과, 대구시민들의 2015년 기준 카드 사용 금액은 8조3천억원으로 이 중 대구를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한 금액은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돼 역외소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에서의 카드사용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지역별로 서울(60.4%)에서 가장 많은 소비를 했으며 경기(14.6%), 경북(12.8%)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경북에서의 사용은 5년 새 19.4%에서 12.8%로 하락세를 보였다. 업종별 사용액은 유통(28.4%), 연료판매(10.9%), 음식·숙박업(10.3%) 순이었다. 이처럼 역외소비율이 높다는 것은 시민들이 번 돈을 주로 외지에서 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타 지역 거주자가 대구지역에서의 소비한 소비유입률은 2015년 17.8%로 역외소비율(46.4%)보다 28.6%포인트(p)나 낮았고 전국 평균(31.2%)보다도 13.4%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통, 음식·숙박, 연료판매, 오락문화 등 관광 관련 업종의 소비유입률이 크게 저조해 소비비중도 하락 추세였다. 이 같은 추세는 지역총생산량 감소와 고용 부진, 자영업자들의 영세성 심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역경제의 순유출 억제를 위해서는 타 지역으로부터의 소비유입 증대 이외에 뚜렷한 대책이 없다. 자연경관·문화유적 등 관광자원이 부족한 대구의 경우, 경북지역 관광자원을 연계한 광역 관광권이나 체험활동과 문화콘텐츠가 접목된 관광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물론 의료서비스와 같이 소비유입률이 높게 나타난 업종에 대한 지속적인 특화 노력도 필요하다.

일본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후루사토와리(고향할인)` 사업 같은 정책수단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지난 2014년 12월 27일 일본 각의에서 결정한 이 사업은 지역소비촉진과 생활지원형 예산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모션 정책이다. 지방정부가 고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상품들을 선정하고, 중앙정부가 일정부분 지원하는 이 정책은 돗토리현 내 163곳의 숙박시설 공동할인권, 나가사키현 고향여행권 등 성공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수도권 집중현상은 생산과 소비 영역을 가리지 않고 지역을 피폐하게 만든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 고질적인 문제는 중앙정부의 강력한 `균형발전` 의지와 지방정부의 굳건한 `자치발전` 의식이 맞물리지 않으면 해결이 어렵다. 지역의 빈익빈 현상을 심화시키는 지역경제 유출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온갖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