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영주·안동 등 7곳
66% “일자리 부족” 원인

전국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축소도시에 경북의 도시가 가장 많은 약 35%가 포함돼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27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저성장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20곳의 지방 중소도시에서 인구는 줄어드는데 빈집과 기반시설은 남아도는 `도시 축소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토연구원이 1995~2005년과 2005~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했거나, 두 기간 중 한 기간만 인구가 줄었으면서 최근 40년간 인구가 가장 많았던 `정점인구`에서 25% 이상 인구가 줄어든 도시 연구결과 경북의 도시가 가장 많이 포함됐다.

경북도에만 영주, 안동, 문경, 상주, 김천, 영천, 경주 등 7곳이 집중됐고, 강원도에는 태백·동해·삼척 등 3곳, 충청남도에는 공주·보령·논산 등 3곳, 전라북도에는 익산·김제·정읍·남원 등 4곳, 전라남도에 나주·여수 등 2곳, 경상남도에는 밀양 1곳이다.

20개 도시 모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14%인 고령화 사회 이상 단계에 들어있다. 이중 삼척, 공주, 보령 등 9개 도시가 고령사회(65세 이상 비율 14~20%), 정읍, 남원 등 6곳은 초고령사회(65세 이상 비율 20% 이상)에 도달했다.

모든 축소도시의 공가율(빈집 비율)도 전국 평균인 6.5%를 넘어섰다. 평균의 2배를 넘는 13.0%보다 공가율이 높은 곳도 4곳(태백, 삼척, 나주, 영천)에 달했다.

경주, 여수, 나주 등 7개 도시에서는 최근 10년(2005~2015년)간 빈집 수가 연평균 6.0% 이상씩 급격히 증가했다. 이들 축소도시는 2015년 기준으로 재정자립도가 30%를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안동, 상주, 정읍, 남원, 김제 등 5곳은 재정자립도가 15%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축소도시 원인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6.3%가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이외 12.6%는 `출산율 저하`, 8.3%는 `기반시설 부족`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축소도시에서 앞으로 나타날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48.7%는 `안정된 소득원과 일자리의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노인층 의료·복지 문제`와 `지역공동체 소멸`이 각각 19.0%, 14.1%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렇듯 축소도시가 심각하게 늘어나면서 도시 다이어트 정책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시 다이어트란 말 그대로 공가율과 유휴시설 등을 낮추는 등 도시몸집을 줄여 축소도시화를 적게 만드는 전략이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