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일제 근무 등 경북형 일자리 시책이 전국적 주목을 받는다. 20일 새 정부의 당면 과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산산업단지를 찾은 이낙연 국무총리는 경북도가 산하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 4일 근무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면서 “현실적인 정책으로 잘 만들어졌다”고 언급하고 “일반 기업과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만한 정책”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새 정부의 첫 총리가 일자리 창출과 관련, 첫 현장 방문지로 경산을 찾은 것은 매우 의미 있다. 특히 경북형 일자리를 새 정부의 모델로 삼아도 좋다는 생각을 가진 것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경북도가 새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선도적으로 대응한 것이 주효했으나 그보다 경북형 일자리 시책이 전국적 모델이 될 수 있다면 지역으로 봐서도 반가운 일이다. 이 총리도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김관용 경북지사가 주 4일 근무제 도입,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돌봄 치유농장 등 경북형 일자리 시책을 추진한다는 보고를 듣고 좋은 아이디어로 생각했다고 한다.

경북도가 올해 도입한 주 4일 근무제는 도 산하 공공기관에 적용되는 새로운 일자리 형태다. 주 5일 근무의 정규직과 같은 예우를 하지만 주 4일 근무만큼의 월급을 받는다. 이렇게 해서 발생한 잉여예산을 재투입해 일자리 나누기 사업으로 성과를 만들어 내는 제도다. 이 제도는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등 북유럽국가 일부에서 성공한 근무형태라 한다. 우리도 개인 사생활이 존중되는 선진국형 라이프 스타일이 등장하면서 이 제도의 정착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이 총리는 도시청년 시골파견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총리 자신이 전남지사를 경험한 만큼 농촌 사정에 밝아 이 제도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젊은 층이 농촌으로 오면 6차 산업을 선도하고 고령화를 극복해 농촌 부농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새 정부 들어서면서 대구·경북지역은 정치적 환경이 완전히 달라졌다.

여권에서 야권으로 정치지형이 뒤바뀌었다. 과거 정권만큼 지역 인재의 등용도 줄어들고, 정치적 영향력도 약해진 게 사실이다. 따라서 지역 현안 해결이나 예산지원 등의 문제 해결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현안을 풀어가야 하는 것이 지역단체장의 역할이다. 더 좋은 기획과 출중한 아이디어로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는 역량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 총리와 김 지사가 지역균형발전 등에 대한 철학이 같고 지사 시절 끈끈한 협력관계를 유지한 인연이 많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경북형 일자리 시책은 시의성과 효과 등에서 정부의 주목을 받은 것이다. 이 총리의 방문을 계기로 `경북형 일자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민간 일자리 창출의 마중 물이 되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