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대게 휴어기 겹치고 냉수대까지 형성 `이중고`
포항 등 경북 5개 시·군 연근해 어획량 갈수록 줄어
어민들 “면세유 추가할인 등 정책지원 우선” 한목소리

동해안의 주된 어업기반인 오징어 휴어기와 대게 금어기까지 겹치며 조업터전을 잃은 동해안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연안 어자원 고갈에다 냉수대까지 형성되면서 어획마저 부진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어민들이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금어기를 어긴 불법조업의 위험을 감수하고 있어 자칫 범법자를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처럼 동해안 어민들은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총체적 위기에 내몰리고 있어 정책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포항시청에서 지난달 열린 박명재 국회의원 주최 `동해안 어족자원 보존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에 따르면 경북 동해안은 포항을 비롯해 울릉, 경주, 영덕 울진 등 5개 시군에 걸쳐 다양하고 풍부한 어족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해마다 그 양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2000년에는 14만3천t 수준이었던 동해 연근해 어획량은 2010년 13만3천t, 2015년 12만6천t, 2016년 11만9천t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며 남해나 서해와 달리 양식업의 비율이 적은 동해안에서의 이런 현상은 큰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대게의 경우, 지난 2007년 4천100t이었던 어획량이 2015년에는 1천600t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오징어 역시 2009년 9만2천t까지 기록됐으나 2014년 5만9천t으로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1만8천t까지 급감했다. 이는 기후변화와 환경오혐, 자원남획,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이라는 요인과 함께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냉수대와 적조 등 부정적인 환경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내적인 요인도 만만찮다. 고령화돼가는 어촌에서 1인조업 비율이 올라가며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여기에 일손 부족 또한 이미 한계에 다다르고 있어 외국인 선원이 없으면 조업이 불가능할 정도다. 상황이 이렇자 어촌 내부에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8일 포항시 남구 장기면 한 마을에서는 외지인도 아닌 마을어촌계장이 작업선을 동원해 포획·채취 금지 기간인 해삼을 조업하다 해경의 단속에 걸리기도 했다. 대게 조업 역시 체장 미달과 암컷 대게 포획 등의 남획 사례가 수없이 반복되고 있다. 즉 어족자원의 감소 때문에 생계가 막막해진 어촌에서는 불법인 줄 알면서도 채취 금지기간을 어기거나 체장 또는 체중 미달 자원을 조업하고 있고, 이는 또다시 어족자원의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것.

이에 대해 수산업계에서는 당장 생존의 문제에 부닥친 어촌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불가항력인 외부적 요인은 제쳐놓고서라도 어족자원의 회복이 대부분 일정 기간 조업의 금지라는 제한적인 방법과 바다숲 조성 및 인공종묘 방류 등 장기간이 소요되는 방법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어민 A씨는 “당장 먹고살기 어려운데 정부의 각종 정책은 공염불로 들린다”며 “어선 면세유 추가 할인과 귀어정책 확대를 통한 인력 유입 등과 같이 즉각 효과가 있는 정책들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