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말을 하는데 품위가 유지된다면 그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막말을 할 때면 하는 그 사람의 품격은 떨어지게 마련이다. 양반이라서 상말을 못하겠다는 것은 이해되는 말이다. 고운 말과 인격은 비례한다.

그런데도 정치인한테는 막말이 자주 터져 나온다. 막말을 해 본전도 못 건질 것 같은데 정치적 셈법으로는 꼭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 정치인의 막말을 우리는 많이 접해 봤다. 당장 욕을 먹기는 하지만 막말이 주는 뉘앙스가 어쩌면 유권자한테 더 빠르게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좀 더 강력하게 부각하려면 당장 욕은 먹어도 막말이 필요할 때가 있다는 계산이다.

정치적 셈법이야 일반인의 셈법과는 다르니 서민들 입장에서는 그 셈법을 이해할 방법이 없다.

6·13 지방선거 참패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마지막으로 막말 한번 하겠다”며 작심하고 일부 한국당 의원들을 비판한 데 대해 또한번 당내가 소란해졌다.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물러났으면 조용히 떠나는 게 도리인데 “막판 재 뿌리기냐”며 많은 의원들이 발끈한 모양이다.

홍 대표가 그동안 쏟아낸 막말이 지방선거 패인의 결정적 원인이 됐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중치 못한 그의 말이 국민의 강한 거부감을 받았던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당 대표로서 그간 뱉어낸 정치적 수사들은 좀 더 걸러지고 보다 전략적이어야 할 부분들이 부족했다는데서 아쉬움은 분명 있다. 선거가 망쳐진 지금에 와서 갑론을박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마는 홍 대표의 막말을 문제 삼는 당내 의원들은 자성할 대목이 없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홍 대표의 막말이 문제가 됐다면 미리 막았어야 할 사람이 바로 한국당 의원이기 때문이다. 언어는 그 사람의 인격이다. 생각이 말이 되고 말이 습관이 되어 그 사람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경구처럼 말은 신중할수록 좋다.

불가에서는 “사람의 입이 화를 부르기도 하고 복을 부르기도 한다”고 가르친다. 정치도 이젠 막말과 같은 잔꾀를 부려서는 먹혀들지 않는다. 정도(正道)의 정치가 새로 열려야 한다.

/우정구(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