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규종경북대 교수·노문학
▲ 김규종경북대 교수·노문학

다시 팔월 한가위 추석이다. 많은 사람들이 고향이나 친지를 찾아 나라 곳곳으로 이동하는 진풍경을 되풀이하는 시절. 들판의 벼가 고개 숙인 채 누렇게 익어가고 있지만 본격적인 수확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 지난 여름 우심한 폭염의 무더위와 솔릭 태풍과 때 아닌 폭우(暴雨)로 농부들의 심사는 편치 않다. 그럼에도 우리는 추석명절을 기다려왔다. 그것은 분명 예정된 만남과 그것이 선사하는 즐거움과 흔쾌함 때문일 것이다.

추석을 목전에 둔 시점에 남과 북의 최고 정치 지도자들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다시 머리를 맞댔다. 4월 27일, 5월 26일에 이어 9월 18일 세 번째 정상회담을 가진 것이다. 이제는 고인(故人)이 된 김대중-노무현 두 분 집권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한 차례씩 정상회담을 했지만 이렇게 1년에 세 차례 넘도록 얼굴 맞대고 중차대한 사안을 논의하기는 처음이다. 21세기 문명사적 대전환이 바야흐로 한반도에서 생겨날 조짐이 보인다.

추석이 오면 나는 예외없이 서울로 길을 재촉한다. 승용차에 이런저런 농산물을 싣고 모친을 뵈러 300㎞ 여정에 오른다. 형제자매와 친척은 물론이려니와 40년 지기(知己)들을 만나는 유쾌함은 필설로 형언하기 어렵다. 얼마 전에 정년을 맞은 친구들과 회합하는 자리에서 “우리 어머니께 인사드리러 오렴!”하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친구들 부모님들은 모두 돌아가셨고, 유일하게 나의 모친만 생존하신 때문이다. “그래!” 하는 대답이 들려온다.

그래서다. 내가 이번 추석을 예년보다 기대하는 까닭은 나의 가까운 벗들이 어머니를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일정이 잡혀있기 때문이다. 언제 세상과 작별하실지 모르는 어머니가 40년 전부터 내 ‘절친’으로 지내왔던 벗들을 만나보는 일은 적잖은 기쁨일 것이다.

서울과 청도를 오가는 길에서 대면하는 허다한 미지(未知)의 군상이 보여주는 관습과 풍경은 언제나 흥미로운 관찰대상이다. 옷차림과 걸음걸이, 가족관계와 얼굴표정 하나하나 추석명절이 선사하는 환희와 생동감을 드러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조금은 가볍고 우울한 주머니 사정이라 해도 그런 내색하지 않고 종종걸음으로 서두는 사람들을 바라보는 것은 살아있음을 재삼재사 확인하는 작업과 전혀 동일하다.

다만 한 가지 저어되는 것은 아홉 마리 닭의 먹이활동이다. 싸라기와 옥수수 사료를 5대5로 배합한 마른 식사와 배추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제공하는 야채식단이 사나흘 중단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웃에게 부탁할까 생각은 하지만 명절의 번다함과 혼란스러움, 소란과 소음을 한껏 향수할 권리를 그이들에게서 빼앗는 것 같아 적이 조심스럽다. 하지만 이런 정황에도 불구하고 한가위가 주는 기쁨은 줄어들지 않는다.

요즘에는 곤충들의 습격을 받은 감이 불그스레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10월 말 이후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홍시 이전의 ‘홍시’가 만들어지고 있는 중이다. 4년 전 추석 때 녀석들을 따서 서울로 가져갔을 때 처음으로 나는 알게 되었다. 모친이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과일이 홍시라는 것을! 그 후로 해마다 추석이 되면 벌레들의 선물을 김치통에 가득 담아서 가져가곤 한다. 그걸 보고 기뻐할 노모의 주름진 얼굴이 그려진다.

세상이 비록 공평하지 않아도 잠시 그런 생각 접어두고 가족과 이웃과 친구들과 덕담 나누고, 풍요로울 미래를 그려보는 것은 작은 행복이다. 여전히 남과 북의 대립과 갈등을 부추기는 정당과 언론들과 투기꾼들이 있지만 언젠가 그들도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 공동체의 화합에 동참하리라 믿는다. 추석을 맞으면서 가족과 친지의 범위를 크게 넓혀보면 어떨까, 하는 기막힌 상상을 해보는 게다. 이번 한가위 보름달은 한없이 크고 밝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