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의 도시 라오스 돌아보기 ① 비엔티안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 건립된 독립문 ‘빠뚜싸이’. /클립아트코리아

‘라오스엔 대체 뭐가 있는데요?’ 무라카미 하루키가 물었다.

그는 즉답 대신 ‘바로 그 무언가를 찾기 위한 과정으로서 여행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여행은 무언가를 보러 가는 것이 아니라 그 무엇을 찾아 나서는 과정인 것이다. 이 테마에 잘 부합하는 여행지가 라오스다.

이 일본 소설가는 루앙프라방에 50일을 머무르며 이곳의 자연, 경관뿐만 아니라 라오스의 내면으로 빠져들었다.

일본 작가 예찬이 아니더라도 어느덧 라오스는 지구상의 최고 힐링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연간 300만 명 이상이 라오스를 방문하고, 매년 두자릿 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제 라오스의 관광산업은 국가경제의 10% 이상 비중을 차지하며 주력산업으로 성장했다.

‘지구촌의 마지막 힐링지’라고 불리는 라오스의 도시(비엔티안, 방비엥, 루앙프라방)를 3회에 걸쳐 소개한다.

 

‘달의 도시’라는 수도 비엔티안, 동남아 최대 물줄기 품은 덕에 풍요 누려
나라 대표하는 사찰인 ‘왓 씨싸켓’ 내부엔 6천890개 이르는 불상들 즐비
엽서 단골배경 ‘탓 루앙’ 금빛 사원, 성군 추앙받는 셋타티랏왕이 지켜
프랑스 독립 기념해 세운 승리의 문이 개선문을 닮아 아쉽다는 생각도

 

탓 루앙 남쪽 사원에 있는 대형 와불.
탓 루앙 남쪽 사원에 있는 대형 와불.

◆ 라오스와 한국은 고대 알타이어계로 한뿌리

우선 라오스와 한국은 연결 고리가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연간 교역량도 135억 달러로 주변 태국이나 베트남에 비해 훨씬 적고, 그 흔한 축구 라이벌 관계도 아니다.

그러나 역사 시계를 고대(古代)로 돌려보면 뜻밖의 사실과 만난다. 바로 라오족의 조상인 고대 타이족(Thái)이 바로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에서 갈라져 나왔기 때문이다. 당연히 언어상으로 알타이어계인 우리와 깊은 지리적 배경과 혈연관계를 공유한다.

현지에서 만난 가이드는 “라오족, 묘족, 몽족은 모두 한 계통으로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에서 갈라져 나왔다”며 “기원전 무렵에 우리 고대 선조들과 혈연, 지연으로 뚜렷하게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별 인연이 없어 보이던 라오스가 우리 생활 속으로 갑자기 들어오게 된 것은 한 TV 프로그램 때문이었다. 2014년 tvN ‘꽃보다 청춘’에 나왔던 블루 라군의 원초적 풍경과 물빛, 거기서 벌어진 출연자들의 크고 작은 에피소드는 시청자들을 매료시켰다.

프로그램 히트는 바로 라오스 열풍으로 이어졌다. 2014년 방영이후 라오스행 게이트엔 여행객이 줄을 이었고, 관광지의 식당, 노점엔 한글이 걸리기 시작했다.

이런 한국인의 ‘공습’은 부작용도 불러왔다. 현지 물가를 순식간에 3~4배나 올려 하루 3~4만원 대의 값싼 관광을 즐기던 외국인들을 대거 축출(?)시키기도 했다.
 

셋타티랏왕 동상
셋타티랏왕 동상

◆ 라오스의 500년 수도 비엔티안, 사찰-박물관 밀집

비엔티안의 현지 이름은 ‘위양 짠’으로 ‘달의 도시’라는 뜻이다. 동남아시아 최대 물줄기 메콩강을 품은 덕에 물고기, 농업용수는 물론 수력발전까지 가능해 라오스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고 있다. 인구는 100만명이 채 안되지만 명실공히 라오스의 정치, 경제, 행정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이 메콩강을 따라 펼쳐지는 란싼왕조, 비엔티안왕조의 화려한 유적은 마치 시간이 멈춰 선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보통 비엔티안 투어의 출발은 왓 씨싸켓에서 시작한다. 비엔티안의 사원 중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1818년 건립되었다가 1829년 전란으로 소실되었는데 1935년 재건되었다. 왓 씨싸켓을 라오스를 대표하는 사찰로 끌어올린 건 사원 내부 담장에 진열된 6천890개 이르는 불상들이다. 불상들은 은(銀) 또는 토기로 제작된 것으로 상당 부분 훼손되어 있지만 그 원형만큼은 퇴색되지 않고 200년 가까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인물들은 같은 모양이 없고 수인(手印)이나 입상(立像) 모습이 모두 다르다. 형상을 이렇게 많이 만든 것은 부처께서 낮은 곳으로 내려와 모든 중생과 불자 하나하나의 삶과 고통까지 살핀다는 뜻일 것이다.

라오스 엽서에 단골로 등장하는 ‘탓 루앙’도 인기 코스다. 라오스 관광 표지 메인을 장식하는 금빛 사원으로, 국가의 상징이자 라오스에서 가장 신성시 되는 곳이다. 부처의 가슴뼈, 사리와 유물을 묻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렸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적멸보궁 쯤 되는 셈이다.

사원 앞을 지키고 있는 셋타티랏왕 동상도 눈여겨봐야 할 대상이다. 이 왕은 14세기 라오스를 전성기로 이끈 창 왕조의 군주로, 라오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도자로 추앙받고 있다.

재위 중에 불철주야 통치를 위해 몸을 돌보지 않았는데, 사후에라도 편히 쉬라는 의미로 앉은 자세로 동상을 제작했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대왕, 성군으로 추앙받는 세종과 이미지가 겹친다.(세종대왕 동상도 좌상이다)
 

왓 씨싸켓 사원에 전시된 불상들.
왓 씨싸켓 사원에 전시된 불상들.

◆ 라오스인들의 독립정신이 서려 있는 빠뚜싸이

비엔티안의 한복판에서 도시의 중심을 잡고 있는 빠뚜싸이는 라오스인들이 독립정신이 서려 있는 곳이다. 1969년 프랑스와의 독립 전쟁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승리의 문’이다. 모습은 프랑스 개선문과 비슷하지만 내부엔 라오스의 전통 문양이 새겨져 민족의식을 강조했다. 빠뚜싸이가 라오스인들에게 얼마나 상징적인 건물인가 하는 것은 국가 정책에서도 잘 나타난다. 라오스 정부는 최근까지 탑 높이보다 높은 건축물을 짓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제했을 정도다.

단, 자주 독립을 기념하는 건축물을 적국인 프랑스 개선문을 모델로 삼았다는 점과 그 비용을 범국민적인 성금이나 국가자본으로 조달하지 않고 미국 원조자금으로 충당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은 남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여행자의 단상일 뿐이다.

비엔티안 시티투어를 끝내고 방비엥 남쏭강 옆 호텔에 짐을 풀었다. 500년 고도 비엔티안 시내에서의 흥분은 이제 물소리, 새소리에 잦아들었다.

석양에 물든 남쏭강이 맑게 흐르고, 강 건너엔 사진에서 보았던 중국 계림, 베트남 하롱베이의 석회암 카르스트산맥들이 옅은 음영으로 펼쳐진다.

내일 방비엔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나타날까. 기분 좋은 상상 속에서 고단한 몸을 누인다.

 

탓 루앙 탑
탓 루앙 탑

라오스의 문화 코드 ‘뽀뺀양’

라오스의 1인당 GDP는 1천800달러 선으로 이웃한 내전(內戰) 국가 미얀마를 제외하고 동남아에서 소득 수준이 가장 낮다.

그럼에도 현지에서 만난 라오스인들의 표정은 무척 밝고 평안하다. 이런 평온은 거리, 시장 같은 일상을 물론 개개인의 삶에도 연결된다.

라오스에서는 3가지를 볼 수 없다고 한다. 경적소리, 싸우는 소리, 장례식장에서 우는 소리다. 실제로 여행 중 일행을 태운 차가 고장으로 도로 한복판에서 10여 분을 서 있었는데도 단 한 번 빵빵 소리를 듣지 못했다.

또 불교 윤회사상 때문인지 ‘죽음을 이생의 업(業)을 마감하고 다음 생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인식하는 탓에 우리와 같은 애도(哀悼) 문화도 없다.

또 라오스에서 ‘싸바이 디’(안녕하세요) 다음으로 많이 듣는 소리가 ‘뽀뺀양’이다. 우리말로 ‘괜찮아’ ‘그럴 수 있지’ 쯤으로 해석된다.

사소한 일과 실수에 대해 서로 따지지 않는 문화 덕에 사회적 완충장치를 하는 어법(語法)이다. 이 마법 덕에 라오스에서는 큰 싸움이나 분쟁이 생기지 않는다.

혹시 여행 중에 곤란한 일이 생기면 ‘뽀뺀양’이라고 말해 보라. 열에 아홉은 상황이 종결된다.

글·사진/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